인플레이션 2

[경제] 기본원리 10: 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과 실업 사이에 상충관계가 있다

이번 글이 경제학의 기본원리의 마지막 글입니다. 이번 글까지 읽고 나면 여러분은 이제 본격적으로 경제학을 공부하기 위한 기초 원리의 공부를 마친 것입니다. 이 다음 글은 먼저 경제학을 이해하고 공부하기 위해 경제학자 처럼 생각하는 태도와 방식에 대해서 쓰게될 예정입니다.제가 스스로 경제학을 공부하기 위해 이 블로그 카테고리를 시작했지만 의외로 읽는 독자들도 많으시고 저도 글을 쓰면서 한층 이해가 깊어지고 있습니다. 화폐환상과 필립스 곡선: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의 단기 상충관계 이해하기현대 경제정책에서 가장 큰 도전 과제는 물가안정과 고용 유지의 균형을 맞추는 것입니다. 특히 최근 글로벌 경제가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며, 이 두 경제 지표의 관계는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. 1958년 경제학자 필립스가 발견..

[경제] 기본원리9: 통화량이 지나치게 증가하면 물가는 상승한다

# 통화량 급증이 몰고 온 글로벌 인플레이션: 코로나19 시대의 교훈 2020년 3월, COVID-19의 전 세계적 확산으로 글로벌 경제가 급격히 위축되자 각국 중앙은행들은 전례 없는 규모의 통화량 확대 정책을 실시했습니다. 미국 연준(Fed)은 2년간 약 5조 달러의 자산을 매입했고, 기준금리를 0%대로 낮추었습니다. 이러한 대규모 통화량 증가는 2022년 이후 글로벌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졌습니다. 맨큐의 경제학 원리 중 9번째는 "통화량이 지나치게 증가하면 물가는 상승한다"라고 설명합니다. 코로나19 시기는 이 원리를 입증하는 현대적 사례가 되었습니다. 통화량과 물가의 이론적 관계 통화량과 물가의 관계는 화폐수량설로 설명됩니다. 기본 방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: MV = PY - M: 통화량 - V: 화..

1